사상 3

Giordano Bruno의 사상

Giordano Bruno (1548∼1600) 사 상 (1) 범신론 (2) 우주에 대한 새로운 비젼 ; 우주의 무한성 (3) 지동설에 대하여 (4) 기억술 (5) 영향 사 상 (1) 범신론 일체를 지배하고 생명을 불어넣는 원리를 브루노는 신(神)이라 불렀다. 그러므로 브루노에 의하면 신은 초월적인 위치에서 세계를 지배하고 있는 것이 아니라 바로 세계 속에서 세계 전체와 그 모든 부분에 대해서 활력적인 원리로서 작용한다. 세계의 무한성은 신의 무한성과 양립될 수 없고 양자가 일치하든가 아니면 하나가 유한해야 한다. 브루노는 단호하게 전자의 길을 택한다. "우리는 태양광채 속에서 그리고 대자연의 품속에서 싹트는 만물의 아름다움 속에서 신을 발견 한다.... 광대한 천계에서 빛을 발하는 무수한 별들을 바라보..

인문 2007.11.16

잠비스따 비꼬의 사상

Giambattista Vico (1668∼1744) 사상 (1) 데카르트 사상의 비판 (2) 역사에 대한 이해 (3) 역사순환론 (4) 신의 섭리 (5) 언어와 신화 (6) Vico와 Scienza Nuova의 영향 사 상 (1) 데카르트 사상의 비판 Vico 의 사상은 데카르트의 사상을 비판하는데서 비롯된다. 즉 Vico는 데카르트의 철학의 출발점인 "Cogito, ergo sum(나는 생각한다. 그러므로 존재한다)"에 대해서 "진리는 창조하는 것과 동일하다(Verum ipsum factum)"는 인식론의 원리를 제시함으로써 데카르트가 사고와 존재를 일치시킨 일에 대하여 진리와 창조를 일치시켜 역사철학의 참다운 길을 열었다. Vico는 이와같은 데카르트의 견해에 대하여 "진리와 사실은 환위된다(Ver..

인문 2007.11.16

이탈리아 사상가 '마르실리오 피치노'의 사상

Ficino, Marsilio(1433∼1499) 피렌체 아카데미의 설립자인 피치노는 피렌체 근방의 Figline에서 의사의 맏아들로 태어났다. 그는 피렌체에서 인문과학, 철학 그리고 의학을 공부했지만 학위를 받지는 못했다. 1456년경 그는 그리스어 공부를 시작했고, 1462년에는 코지모 일 베끼오로부터 Careggi에 있는 집 한채와 여러편의 그리스어 필사본을 받았다.(메체나티스모) 이때를 피렌체 플라톤 아카데미의 설립시기로 본다. 1473년에 피치노는 사제직분을 받았다. 1494년 피렌체에서 메디치 가문이 축출된 후, 메디치 가문과 오랜 기간동안 밀접한 관계를 유지해오던 피치노는 시골에 칩거했다. 사후에 그의 장례식에서 피렌체 공화국의 시장은 그에게 경의를 표했다. 추측건데, 피치노는 어거스틴을 연..

인문 2007.11.16